매수 의사 없이 집만 보러 다녀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동산 '임장비용' 제도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부동산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임장"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텐데요.
임장은 '현장에 나가 부동산을 살펴보는 행위'를 뜻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임장을 둘러싼 새로운 움직임이 있습니다. 바로 ‘임장비용’ 제도 도입 논의입니다.
🧐 임장이 뭐길래?
"임장(臨場)"은 매수 또는 임대 전 부동산 현장을 실제로 방문하여, 주변 환경이나 주택 상태 등을 직접 확인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은 중개사와 집주인의 시간, 노력이 소요되는 일이죠.
❗ 임장, 이래도 괜찮을까요?
📌 문제점 1. ‘투어하듯 집 보기’
SNS나 유튜브의 영향으로 실제 매수 의사 없이 단순 구경 목적으로 임장을 다니는 사례가 많아졌습니다.
중개사 입장에서는 시간을 들여 안내했지만, 아무런 거래로 이어지지 않으면 그야말로 '공치는' 셈이죠.
📌 문제점 2. 비용은 누가 감당하나요?
차로 이동하고, 건물 앞에서 대기하며, 입주민 협조를 구하고, 때론 여러 집을 연결해서 보여주는 등
중개사의 시간과 자원은 이미 소비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보상은 전혀 없는 구조였습니다.
💡 그래서 등장한 ‘임장비용’ 제도
한국공인중개사협회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임장비용을 사전에 받고, 실제 거래가 성사되면 환불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 제도 개요:
- 임장 시, 일정 금액의 보증금(예: 3만~5만원)을 선지급
- 실제 거래 성사 시 전액 환급
- 거래 없이 종료되면, 중개사 수고비로 전환
이 제도는 일부 지역에서 시범 적용 또는 자율적으로 운영 중이며, 협회 차원에서도 가이드라인 마련을 추진 중입니다.
⚖️ 임장비용 제도에 대한 찬반
👍 찬성 | 중개사의 전문성과 노동력을 정당하게 인정할 수 있다. 허위 임장 줄어든다. |
👎 반대 | 매수자 입장에서는 비용 부담으로 접근성이 떨어질 수 있다. 형식상 ‘수수료 이중 청구’처럼 보일 수 있다. |
🚪 새로운 문화가 필요해요
부동산도 결국 **‘사람 간의 신뢰와 시간’**으로 이뤄지는 거래입니다.
단순 구경이 아닌 ‘매수 후보’로서 예의를 갖춘 접근이 필요하고,
중개사 역시 합리적인 서비스 구조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죠.
✍️ 마무리하며
‘임장비용’ 제도는 아직 법제화된 것은 아니지만,
부동산 시장 내에서 더 나은 거래 문화와 공정한 보상을 위해 점차 논의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이런 움직임이 실제 정책이나 법령 개정으로 이어질지 지켜봐야 할 텐데요,
여러분은 이 제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함께 이야기해요!
여러분은 임장비용 제도 도입에 찬성하시나요? 반대하시나요?
댓글로 생각을 나눠주세요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