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안기5 건설안전기사 필답형 기출복원 - 19년 2회 2019년 2회 건설안전기사 필답형 기출복원1. 안전보건표지판의 명칭ⓐ 사용금지 ⓑ 인화성물질경고 ⓒ 고압전기경고 2. 안전관리비로 사용할 수 없는 4가지ⓐ 공사장 경계표시를 위한 가설 울타리 ⓑ 현장사무소의 휴게시설 ⓒ 근로자에게 일률적으로 지급하는 보냉 보온장구 ⓓ 실내 작업장의 냉, 난방시설 설치비 및 유지비 3. 명예산업안전감독관을 해촉 할 수 있는 경우 4가지ⓐ 근로자대표가 사업주의 의견을 들어 위촉된 명예산업안전감독관의 해촉을 요청한 경우 ⓑ 위촉된 명예산업안전감독관이 해당 단체 또는 그 산하 조직으로부터 퇴직하거나 해임된 경우 ⓒ 명예산업안전감독관의 업무과 관련하여 부정한 행위를 한 경우 ⓓ 질병이나 부상 등의 사유로 명예산업안전감독관의 업무 수행이 곤란하게 된 경우 4. 굴착작업 표준 안전.. 2023. 8. 7. 건설안전기사 필답형 기출복원 - 19년 1회 2019년 1회 건설안전기사 필답형 기출복원1. 비계에서 작업을 할 때 점검사항 3가지ⓐ 발판의 재료의 손상여부 및 부착 또는 걸림 상태 ⓑ 손잡이의 탈락 유무 ⓒ 연결재료 및 연결 철물의 손상 또는 부식 상태 2. 1차 감전 위험 요인 3가지 ⓐ 통전 전류의 크기 ⓑ 통전 경로 ⓒ 통전 시간 ⓓ 통전 전원의 종류 3. 재해 분석ⓐ 추락 ⓑ 작업발판 ⓒ 지면 ※ 정말 쉬운 문제 이므로 무조건 이해하고 적으면 된다. 기인물= 원인, 가해물=결과 만 기억하면 된다. 4. 안전보건표지판의 명칭ⓐ 보행금지 ⓑ 인화성물질경고 ⓒ 녹십자표시 ⓓ 낙하물 경고 5.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이 있는 경우 위험 방지를 위한 조치사항ⓐ 낙하물 방지망 설치 ⓑ 출입금지구역의 설정 ⓒ 수직보호망 또는 방호선반의 설치 6... 2023. 8. 6. 건설안전기사 필답형 기출복원 - 18년 4회 2018년 4회 건설안전기사 필답형 기출복원1. 하역작업을 할 때 화물운반용 또는 고정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섬유로프의 사용제한 조건 2가지ⓐ꼬임이 끊어진 것 ⓑ 심하게 손상 또는 부식된 것 2. 전기기계 기구 또는 전로 등의 충전 부분에 접촉 시 감전방지대책 2가지를 쓰시오ⓐ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형 외함의 구조를 할 것 ⓑ 충전부에 충분한 절연효과 가 있는 방호망 또는 절연덮개를 설치할 것 ⓒ 충전부는 내구성이 있는 절연물로 완전히 덮어 감쌀 것 3. 철골구조물 건립 중~ 내력이 설계에 고려될 사항 4가지ⓐ 높이 20m 이상인 구조물 ⓑ 구조물이 폭과 높이의 비가 1:4 인 구조물 ⓒ 단면구조에 현저한 차이가 있는 구조물 ⓓ 연면적당 철골량이 50 [kg/㎡] 이하인 구조물 4. 방망이 신품에.. 2023. 8. 4. 건설안전기사 필답형 기출복원 - 17년 2회 2017년 2회 건설안전기사 필답형 기출복원1. 차량계 건설기계 작업 계획서 포함 사항ⓐ 사용하는 차량건설기계의 종류 및 성능 ⓑ 차량계 건설기계의 운행 경로 ⓒ 차량계 건설기계에 의한 작업 방법 2. 경고표지 이름ⓐ 인화성 물질 경고 ⓑ 폭발성 물질 경고 3. 굴착면의 기울기보통흙 : 모래 1:1.8 / 습지 1:1~1:0.5 / 건지 1:0.5~1:1 암반 : 경암 1:0.5 / 연암 1:1.0 / 풍화암 1:1.0 4. 안전계수ⓐ 근로자 탑승 (10) 이상 ⓑ 화물의 하중 (5) 이상 ⓒ 훅, 샤클, 클램프 (3) 이상 ⓓ 그 밖의 (4) 이상 5. 강도율 계산연평균 200명 / 사망 1건 / 50일 휴업 2명 / 20일 휴업 1명 /근무일수 305일 ⓐ 계산과정 = {[{7500+(50*2+20).. 2023. 7. 25. 건설안전기사 필답형 기출복원 - 15년 1회 2015년 1회 건설안전기사 필답형 기출복원1. 비계 조립 해체 시 준수사항 3가지를 쓰시오.ⓐ 근로자가 관리감독자의 지휘에 따라 작업하도록 할 것 ⓑ 조립, 해체, 변경, 시기 범위 및 절차를 그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 주시시킬 것 ⓒ 비, 눈 그 밖의 기상 상태의 불안정으로 날씨가 몹시 나쁜 경우에는 그 작업을 중지시킬 것 2. 달기구의 안전계수 괄호 안의 숫자를 쓰시오.ⓐ 근로자 탑승 ~ (10) 이상 ⓑ 하물의 하중을 직접 지지~ (5) 이상 ⓒ 축, 샤틀, 클램프 ~ (3) 이상 ⓓ 그 밖의 ~(4) 이상 3. 크레인 작업 시작 전 점검사항ⓐ 권과 방지장치, 브레이크, 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능 ⓑ 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4. .. 2023. 5.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