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공학기사 실기 15년도 1회차 기출 복원
01. PL 법에서 손해배상책임을 지는 자가 책임을 면하기 위해 입증하여야 하는 사실 3가지
1) 제조업자가 해당 제조물을 공급하지 아니하였다는 사실
2) 제조업자가 해당 제조물을 공급한 당시의 과학, 기술 수준으로는 결함의 존재를 발견할 수 없었다는 사실
3) 제조물의 결함이 제조업자가 해당 제조물을 공급한 당시의 법령에서 정하는 기준을 준수함으로써 발생하였다는 사실
02. 다음의 대안도출 방법
1) 구성원 각자가 검토할 문제에 대하여 메모지를 작성
2) 각자가 작성한 메모지를 오른쪽으로 전달
3) 메모지를 받은 사람은 내용을 읽을 수 해법을 생각하여 서술하고 다시 오른쪽으로 전달
4) 자신의 메모지가 돌아올 때까지 반복
= 마인드 멜팅
03. 행동 유도성이란 , 물건에 물리적 또는 의미적인 특성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행동에 관한 단서를 제공하는 것
04. 조도보정 함수를 설명하시오
조도는 거리가 증가할 때 역자승의 법칙에 따라 감소하며 , 이는 점광원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05.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 조사에서 개선 우선순위 결정 시 유해도 가 높은 작업 또는 특정 근로자에 대해 설명
1) 다수의 근로자가 유해요인에 노출되고 있거나 증상 및 불편을 호소하는 작업
2) 비용편익효과가 큰 작업
06. 사업장에서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해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시행해야 하는 2가지
1) 근골격계질환으로 관련 법령에 따라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받은 근로자가 연간 10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2) 근골격계질환으로 관련 법령에 따라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받은 근로자가 연가 5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으로부터 발생 비율이 사업장 근로자수의 10% 이상인 경우
07. OWAS의 평가항목 3가지
1) 허리 2) 팔 3) 다리
08. 닐슨(Nielsen)의 사용성 정의 5가지
1) 기억용이성 : 기억하기 쉬운가를 나타냄
2) 학습용 이성 : 사용자가 제품의 사용방법을 배우기 쉬운가를 나타냄
3) 효율성 : 어느 정도 익숙한 사용자가 얼마나 빨리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는가를 나타냄
4) 에러빈도 및 정도 : 사용자가 실수를 얼마나 자주 하는가와 실수의 정도가 큰지 작은지의 여부, 그리고 실수를 쉽게 만회할 수 있는가를 나타냄
5) 주관적 만족도 : 제품에 대해 사용자들이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가를 나타냄
09. 정상제품을 정상판정을 내리는 것을 Hit 라 할 때, 각각의 확률 계산 문제
10. 사용자 인터페이스 평가요소 3가지
1) 배우는 데 걸리는 시간 2) 기억력 3) 사용자의 주관적인 만족도
11. C/R 비 계산 문제
12. 시 거리가 71cm 일 때 눈금단위의 길이가 1.8mm이다. 시 거리가 91cm가 되면 단위 눈금은 얼마가 되어야 하는가?
71cm:1.8cm = 91cm: Xcm 답 : 2.307mm
13. 남성근로자의 8시간 조립작업에서 대사량을 측정한 결과 산소소비량이 1.1L/min로 측정 다음을 계산하시오.( 단, 남성권장에너지소비량은 5kcal/min이다)
1) 남성 근로자의 휴식시간은?
2) 휴식시간이 120분이 되려면 산소소비량은 몇 L 이하여야 하는가?
14. 다음은 양립성에 대한 기술
1) 레버를 올리면 압력이 올라가고, 아래로 내리면 압력이 내려간다. = 운동 양립성 : 조종장치의 방향과 표시장치의 움직이는 방향이 사용자의 기대와 일치
2) 오른쪽 스위치를 켜면 오른쪽 전등이 켜지고, 왼쪽 스위치를 켜면 왼쪽 스위치가 켜진다. = 공간 양립성 : 물리적 형태나 공간적 배치가 사용자의 기대와 일치
3) 검은색 통은 간장, 하얀색 통은 식초이다. = 개념 양립성 :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개념적 연상에 관한 기대와 일치
15. 어떤 작업을 측정한 결과 하루 작업시간 8시간, 관측 평균시간 104분, 레이팅 계수가 105% PDF 여유율이 20%(외경법) 일 때, 계산문제
1) 개당 여유시간 = 정미시간 X여유율 = (1.4x1.05) x0.2=0.294분
2) 개당 표준시간 = 정미시간 X(1+여유율)=(1.4x1.05) x(1+0.2)=1.764분
3) 총 정미시간 = 480x1.47/1.764=400분
4) 총 PDF 여유시간 = 480-400= 80분
16. 변화감지역이란 ,
자극 사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두 자극 사이의 가장 작은 차이 값이며, 변화감지역이 작을수록 변화를 검출하기 쉽다.
17. Decision Tree에서 A, B, C, D의 값을 구하고 A, B, C, D의 곱을 계산 (단,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구하기)
18. NIOSE 그래프의 알맞은 내용 기입하기
1) 수용가능 2) 관리개선 3) 조치한계기준 4) 최대허용한계기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