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정보/기타 국가 기술 자격증

국가기술자격증이란? 응시 자격 및 응시 조건 , 학점은행제로 국가기술자격취득방법

by 공부하는 언니👩‍🎓 2024. 6. 28.
반응형

큐넷
국가기술자격증

국가기술자격증은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한국산업인력공단(HRD-Korea) 등에서 시행하는 자격증으로, 산업 현장에 필요한 기술이나 기능 인력을 검증하고 자격을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1. 국가기술자격증의 종류, 분야, 시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면,

🔧 국가기술자격증의 종류

크게 5가지 등급으로 나뉩니다.

  1. 기능사
  2. 산업기사
  3. 기사
  4. 기술사
  5. 기능장

이 외에도:

  • 전문자격증 (예: 변리사, 공인노무사 등)
  • 기술자격 외 자격증도 있지만, 보통 위 5개가 국가기술자격으로 분류되지요.

📚 예시로 몇 가지 분야를 살펴본다면

  • 전기 분야: 전기기능사, 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 전기기술사
  • 건축 분야: 건축기능사, 건축산업기사, 건축기사, 건축기술사
  • 정보통신: 정보처리기능사, 정보처리기사 등
  • 부동산 관련: 공인중개사는 '국가전문자격증'이지만, 감정평가사와 더불어 많이 관심을 갖는 자격입니다.

📝 시험 구성

  • 필기시험 + 실기시험
  • 일부 자격증은 CBT 방식(컴퓨터 기반 테스트)으로 필기로 변경되어 당일 합격의 당락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 과목, 난이도, 응시자격은 자격별로 다릅니다.

국가기술자격증별 응시자격 및 조건

🛠️ 1. 기능사 (응시 조건 ❌ 없음)

  • 누구나 응시 가능 (학력, 경력 제한 없음)
  • 고등학생도 가능
  • 실무 경험 없어도 OK

🏗️ 2. 산업기사 (조건 필요)

응시 자격 요건 중 하나 이상 만족해야 합니다.

  1. 전문대 졸업(2~3년제) 이상
    • 관련 학과 졸업(졸업예정자 포함)
  2. 기능사 자격 + 실무 1년 이상
  3. 실무 경력 2년 이상 (관련 분야)
  4. 대학교 재학생 중 4학기 이상 수료자 (관련 학과)
  5. 기능경기대회 입상자 (노동부인정)
  6.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제8조에 의한 41학점 이상 학점 취득자

⚙️ 3. 기사 (더 까다로움)

다음 중 하나 이상 충족해야 함:

  1. 4년제 대학 졸업(예정 포함) + 관련 학과
  2. 산업기사 취득 + 실무 1년
  3. 실무 경력 4년 이상 (관련 분야)
  4. 3년제 전문대 졸업 + 실무 1년
  5. 2년제 전문대 졸업 + 실무 2년
  6.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제8조에 의한 106학점 이상 학점 취득자

 

🧠 4. 기술사 (최상위 자격, 실무 중심)

  • 실무 경력 필수 (보통 4년~9년 필요)
  • 다음 중 하나 이상 충족해야 함:
  1. 기사 취득 + 실무 4년
  2. 산업기사 취득 + 실무 6년
  3. 기능사 취득 + 실무 9년
  4. 관련 실무 경력만으로 9년 이상

📝 기술사는 필기시험도 이론 중심이 아닌 심화 응용 수준이고, **면접(구술시험)**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3. 건설 분야 자격증의 종류

🏗️ 건설 분야 국가기술자격증 정리

🔹 1. 기능사 (입문자 수준)

누구나 응시 가능하며, 실무 기초 능력 중심

자격증명주요 업무 내용
건축도장기능사 건축물 외벽 도장, 마감 작업 등
비계기능사 비계 설치 및 해체
콘크리트기능사 콘크리트 타설, 양생, 마감 등
철근기능사 철근 배근 작업
방수기능사 건축물 방수 시공
조적기능사 벽돌 쌓기 등 조적 작업

 

🔸 2. 산업기사 (중급 기술자)

전문대 졸 이상이거나 실무 2년 이상 필요합니다.

자격증명주요 업무 내용
건축산업기사 건축 설계·시공 보조, 현장관리
토목산업기사 도로, 교량, 터널 시공 보조
콘크리트산업기사 콘크리트 공정 관리, 품질 시험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측량, 지형 정보 수집 및 처리
건설안전산업기사 건설현장 안전관리, 위험 요소 제거
 

🔶 3. 기사 (상급 기술자, 실무 관리자)

4년제 졸업자 or 실무경력 4년 이상 등 자격이 필요합니다.

자격증명주요 업무 내용
건축기사 건축 설계, 구조계산, 현장 총괄
토목기사 도로, 하천, 철도 등 사회기반시설 설계·시공
건설재료시험기사 건설 자재 품질 시험 및 성능 평가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측량 기획·관리, 공간정보 처리
건설안전기사 대규모 건설현장 안전 총괄
 

 

🏅 4. 기술사 (최고 전문가, 고급 실무 및 자문 수준)

실무 경력 4~9년 필요하며, 고급실무를 비롯한 구술시험 포함합니다.

자격증명주요 역할
건축구조기술사 구조 설계, 구조안전성 검토
토목구조기술사 토목 구조물의 안정성 분석 및 구조 설계
건설안전기술사 고위험 공사의 안전대책 수립 및 지도
건축시공기술사 시공 계획 수립, 공정 관리 및 기술지도
토질및기초기술사 지반조사, 기초 설계 자문
 

💡 참고 팁

  • 건설업 취업 또는 건설회사 창업/등록 시,
    국가기술자격증은 면허 요건이나 기술인 등급 산정에 필수입니다.
  • 건설기술인협회나 **건설산업정보시스템(CIS)**에서도 기술등급 조회 가능하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 자격증 취득 후 실무경력이 쌓이면 기술사까지 도전 가능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