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계약을 마치고 나면 가장 설레면서도 고민되는 순간이 바로 ‘인테리어’입니다.
내 공간을 내 스타일대로 꾸미고 싶지만, 막상 견적을 받아보면… 가격도 천차만별, 스타일도 제각각.
무엇을 기준으로 비교하고, 어떻게 하면 안전하게 그리고 합리적으로 인테리어를 진행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제가 부동산과 인테리어를 준비하면서 직접 체감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인테리어 견적 제대로 받는 법’을 꼼꼼히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1. 감각보다 중요한 건 ‘기준’을 세우는 일
인스타에서 본 예쁜 사진, 유튜브에서 본 고급스러운 영상…
이런 감성도 물론 중요하지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나만의 기준 세우기입니다.
- 목적: 거주용인지, 임대용인지, 사무실인지
- 예산: 전체 예산과 그중 인테리어에 쓸 수 있는 범위
- 우선순위: 꼭 바꿔야 하는 것 vs. 나중에 해도 될 것
- 스타일: 취향에 맞는 색감, 재질, 분위기
이 기준을 명확히 하면, 업체 선정과 견적 비교가 훨씬 쉬워집니다.
2. 무조건 ‘3곳 이상’은 받아보자
인테리어는 정찰제가 아닙니다.
같은 공간, 같은 공사여도 업체마다 제안과 견적이 달라지기 때문에 비교 견적은 필수예요.
- 최소 3곳 이상의 업체에서 견적을 받아보고
- 같은 조건으로 요청해 정확한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세요
- "철거 포함인지", "자재 브랜드가 뭔지", "하자보수는 몇 개월 보장되는지" 등 구체적으로 체크
비교를 통해 평균 가격대를 파악하고, 터무니없이 싼 견적이나 과하게 높은 견적을 거를 수 있습니다.
3. 믿을 수 있는 플랫폼 또는 전문가 활용
지인 추천도 좋지만, 요즘은 인테리어 비교 견적 플랫폼도 잘 되어 있어요.
- 오늘의집, 집닥, 허브줌 등에서는 스타일별 포트폴리오와 함께
시공 후기, 견적 비교, 업체 신뢰도까지 확인할 수 있어요. - 업체 선정이 어렵다면, 감리사나 인테리어 전문가의 컨설팅을 한 번 받아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무조건 혼자 결정하지 마세요.
적어도 한 번은 외부 시선으로 점검받는 게 시행착오를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4. 계약서, 상세 견적서, 공정표는 필수!
인테리어 공사는 금액도 크고, 공사 기간 중 돌발변수가 많기 때문에
문서로 확실하게 남기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계약서: 공사 범위, 공사 기간, 대금 지급 방식, A/S 조건 명시
- 상세 견적서: 어떤 자재를 쓰는지, 어떤 공정이 포함되는지 구체적으로 확인
- 공정표: 각 작업이 언제 시작되고 끝나는지 일정 정리
문서를 꼼꼼히 검토하고, 잘 모를 땐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아요.
5. 감성보다 현실이 우선일 때도 있어요
예쁜 인테리어도 중요하지만, 결국은 기능성과 안전, 유지관리가 핵심입니다.
- 조명 하나도 유지보수가 쉬운 걸로
- 욕실, 주방은 방수와 환기 성능 위주로
- 지나치게 트렌디한 자재는 향후 교체 비용 고려
실제로 써보면 예쁘기만 해서는 불편할 수 있다는 걸 기억하세요.
내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인테리어가 최고의 인테리어입니다.
마무리하며
인테리어는 한두 푼이 드는 일이 아닙니다.
신중하게, 꼼꼼하게, 비교하고 기록하면서 진행하는 것.
이게 ‘안전하고 정확한 인테리어 견적 받는 법’의 핵심입니다.
부동산 계약과 함께 인테리어를 준비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인테리어 견적 요청 시 체크리스트
✅ 기본 정보 정리하기
- 공간 용도 (거주 / 임대 / 상업 / 사무실)
- 공간 크기 (평수 or m²)
- 예산 범위 (총 예산과 인테리어 예산 구분)
- 원하는 인테리어 스타일 (예: 모던, 북유럽, 인더스트리얼 등)
- 원하는 완공 시기
✅ 공사 범위 및 항목 정리하기
- 철거 포함 여부
- 바닥 공사 (마루/타일/데코타일 등)
- 도배/페인트
- 조명/전기/콘센트 위치 변경
- 싱크대/가구/붙박이장 등 제작 여부
- 욕실/주방 공사
- 단열/창호/방수 등 기능성 공사 포함 여부
- 기타 요청사항 (스마트홈, 몰딩, 시스템에어컨 등)
✅ 견적서 비교 시 확인할 항목
- 자재 브랜드 및 사양 명시 여부
- 인건비 포함 여부
- 철거, 청소, 폐기물 처리 포함 여부
- 공사 기간 및 일정 (공정표)
- A/S 기간 및 조건
- 세금계산서 발행 여부
- 계약금, 중도금, 잔금 지급 시점 명확히 기재
✅ 업체 신뢰도 확인
- 사업자등록번호 확인
- 온라인 후기 및 포트폴리오 확인
- 실명 계약 여부 (법인 또는 대표자 명)
- 감리 서비스 또는 외부 검수 가능 여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