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정보

국가 기술 자격 응시 자격 과 검정 기준

by 공부하는 언니👩‍🎓 2023. 7. 30.
반응형

안녕하십니까? 자격증 정보를 제공하는 공부하는 언니입니다.

오늘은 국가기술자격을 준비하는 분들에게 응시 자격과 검정 기준을 소개하려 합니다.

자신의 경력을 업그레이드 시켜 모든 분야의 전문가로서 활약하여 경제적 자유를 준비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시작하겠습니다.

1. 응시자격

기능사 : 자격 제한 없음

산업기사 : 기능사 취득 후 + 실무경력 1년 / 전문대, 대학졸업 (관련학과) / 실무경력 2년 /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산업기사 등급 이상 취득자

기사 : 산업기사 취득 후 + 실무경력1년 / 대학졸업 (관련학과) / 2년제 전문대학(관련학과)+ 실무경력 2년/ 3년제 전문대학(관련학과) + 실무경력 1년 / 실무경력 4년 / 동일 및 유사 직무 분야의 다른 종목의 기사등급 이상 취득자

기술사 : 기사 취득 후 + 실무경력 4년 / 산업기사 취득후 + 실무경력 5년 / 기사 취득 후 + 실무경력 7년/

4년제 대졸(관련학과) 후 + 실무경력 6년/ 실무경력 9년 등 / 동일 및 유사 직무 분야의 다른 종목의 기술사 등급이상 취득자

 

서비스 분야는 1급, 2급 혹은 단일 등급( 종목별 다르게 운영되기 때문에 국가기술자격법 시행규칙 별표 11의 4 참조)

>>>언니의 꿀팁!!

관련학과를 나와야 산업기사부터 응시가 가능 하지만! 절대 포기할 일이 아닙니다.. 관련경력을 쌓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그것 또한 걱정할 일이 아닙니다.. 요즘 다양한 교육기관의 학점은행제를 활용하면 해결 가능 합니다.!!!

회사를 다니면서 이직 준비를 위한 자격증 취득, 좋은 직장을 얻기 위한 자격증 취득 모두 가능한 학점은행제를 이용하면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은 다음 편에 자세히 나눠 보겠습니다.

2. 검정 기준 (필기시험)

기능사의 필기시험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

산업기사/ 기사의 필기시험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

산업기사의 경우 대부분 80문항 ~100문항 / 기사 시험의 경우 100문항~120문항으로 응시 종목별 상이함

기능장의 필기시험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

기술사의 필기시험 : 단답형 또는 주관식 논문형

 

3. 검정 기준 (실기 시험)

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의 실기시험 : 작업형 실기시험

>>>언니의 꿀팁!! 작업형 실기시험은 필답형과 작업형으로 나눠 시행이 됩니다. 모든 종목이 두 가지 다 보는 것은 아니고, 필답형만 갖추면 합격을 하는 종목과 필답형, 작업형 모두 응시하여야 합격하는 종목으로 상이합니다. 그리고 필답형이 거의 60% 작업형이 40%로 점수 비중이 나뉘는데, 필답형을 먼저 응시한 수험생이 작업형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절대!!! 포기는 이릅니다. 작업형 응시를 하지 않으면 필답형 채점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무조건!! 작업형 까지 응시를 완료하여야 합니다. 끝까지 도전을 멈추면 안 됩니다.

 

기술사의 실기시험 : 구술형 면접시험

 

4. 합격기준

필기시험 : 100점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시험 : 100점 만점으로 60점 이상

>>>언니의 꿀팁!!! 필기시험은 cbt 도입 이후 시험 완료 즉시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 최종으로 답안 제출을 하면 가채점으로 결과를 미리 알려주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실기시험은 손으로 직접 작성하는 시험이기 때문에 합격여부가 오랜 시간 기다려야 합니다. 두근두근 하겠죠? 필답형 응시 후 꼭 작업형을 응시하여야 하며 두 시험을 합쳐서 60점을 넘으면 합격입니다.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국가기술자격의 종목은 작업형 실기시험을 주관식필기 또는 주관식 필기와 실기를 병합한 시험으로 갈음할 수 있다.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국가기술자격의 종목은 실기시험만으로 시행할 수 있다.

 

서비스 분야

국가 기술자격법 시행규칙(별표 17) 서비스 분야 국가기술자격검정의 합격 결정기준 참조

 

5. 종합 정리

1. 먼저 해당 자격시험의 응시 자격을 갖춘다.

경력/학점은행제/ 등의 방법으로 갖추어 응시합니다.

2. 60점 기준으로 선택과 집중

100점 만점의 시험이 아닙니다. 나의 주어진 환경에 알맞은 점수 구간의 과목을 집중하여 딱! 합격을 위한 점수를 준비하면 되는 국가자격시험입니다. 나의 전문성을 키우고, 작업능력을 향상해 줄 수 있는 자격시험 준비 하셔서 최선의 결과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