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정보/보건관리자

(보건관리자) 보건관리자가 하는 일 , 업무 FLOW

by 공부하는 언니👩‍🎓 2023. 5. 8.
반응형

보건관리자
보건관리자 하는 업무

 
건설업 보건관리가 하는 일을 하루, 공사기간, 계절을 기준하여 작성하였다. 현장의 규모와 회사별로 차이는 있으나, 큰 테두리 안에서 분류하였다.
 
(하루 기준)

1. 출근 시


  • 밤새 이슈 상황 확인 및 건강관리실 오픈
  • 아침 조회 및 TBM 참석하여 스트레칭 실시
  • 당일 주요 작업 파악 및 필요시 공정별 보건 관련 공지사항 전달

2. 근무 시


  • 신규채용자 관리: 신규 채용자의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4시간) 이수증 확인 및 혈압측정, 해당작업에 대한 특별안전보건교육 실시, 관련서류 작성 및 문서 관리
  • 관련회의 참석 : 보건팀은 소규모라 안전팀에 소속이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안전보건팀의 일일 또는 주간업무회의에 참석하고, (월 1회 이상) 위험성 평가 및 노사협의체 준비 및 회의 참석
  • 지침서와 기준 확인 : 연간 보건 계획서와 실무 지침서 확인 (해당시기에 진행) 
  • 현장점검 : 현장 협력업체, 일용근로자의 안전보건방침의 이해 및 현장 유해인자, 보호구 착용 확인 하여 지도를 한다. 또한 화학물질관리를 위하여 MSDS 비치 및 경고표지 부착 확인, 현장의 유해인자 관리 대책을 마련한다. 현장검점이 끝나면 미흡한 부분은 협력업 관리자와의 문제점 결과를 알려 준다.

3. 퇴근 시


  • 보건업무일지 작성 
  • 건강관리실 정리 정돈

건설업
건설업 보건관리자

 
(공사기간 기준)
 

1. 착공 전


  • 사전준비 (작성, 검토, 승인, 등록) :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이해하고, 안전보건규정 및 절차서, 지침서 검토 및 이해한다. 안전보건조직을 재정비하며 산업재해자 발생 시 업무 처리 규정을 검토 및 재발방지계획서를 작성 검토한다. 또한 협력업체 및 외주사 리스트를 파악하며 과서 발생했던 재해를 재검토해 본다. 

2. 착공 후


  • 보건관리(작업환경 및 건강관리)를 시행한다.
  • 작업(환경) 정보수집
  • 작업(환경) 평가 (작업환경측정, 환기 및 국소배기장치, 작업부하, 인간공학, 신규설비의 유해 파악)
  • 평가결과분석
  • 지속적인 모니터링

3. 준공 시


  • 착공 후에 진행되었던 보건관리 프로그램의 문제점 파악 및 시행착오 사항을 공유한다.

(계절 기준)

1. 봄

  • 춘곤증 예방
  • 황사 때 천식 환자 관리 요령 공지
  • 해빙기 작업 시 예방 관리 추가

2. 여름

  • 고온 및 고열로 폭로된 신체관리 : 체온관리 및 신체를 시원하게 유지하는 방법의 공지, 근로자의 정기적 건강상담 및 적정배치한다. 또한 작업자에게 수분 및 염분을 제공한다.
  • 고온 및 고열작업장의 환경관리 : 시설보완(작업장환기), 냉방시설 마련한다. 또한 위험물의 고온에 의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장 및 관리 상태를 파악한다.
  • 고온 및 고열작업장의 작업관리 : 고온에서 노출되기 전 단계적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온, 습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차단막, 방열복 및 방열장갑을 준비한다. 또한 보호구는 흡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것으로 지급한다.
  • 고온에 대한 기상 뉴스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하여 근로자 보건 관리에 힘쓴다.

3. 가을

  • 환절기 관련 질환 예방관리를 고지한다. (감기,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아토피)

4. 겨울

  • 한랭환경에서의 근로자건강관리 : 저체온증, 동상, 백립병, 고혈압, 뇌졸중, 심근경색 등 근로자를 따로 관리한다. 또한 가스 중독에 따른 질식사고를 예방하며, 과음, 과로 를 관리한다.
  • 한랭 작업장에서 환경관리 : 갑자기 추운 환경에 노출을 금지하고, 기상예보를 파악하여 현장관리에 힘쓴다. 또한 시설을 보완(작업장 환기 및 배기), 난방시설을 운영한다. 대설주의보 등을 주의하여 관리한다.
반응형

댓글